동국사
동국사(東國寺)는 1909년 일본 승려 선응불관 스님에 의해 창건되어 일제 강점기 36년을 일인 승려들에 의해 운영되다가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여 대한민국의 품으로 돌아온 뼈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사찰이다. 그리하여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시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 남겨진 유일의 일본식 사찰로 대웅전과 요사채가 실내 복도로 이어진 것이 특징이다. 화려한 단청이 있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아무런 장식이 없는 처마와 대웅전 외벽에 많은 창문이 일본색을 나타낸다. 조계종 제24 교구인 고창 선운사의 말사로, 동국사의 대웅전은 2003년 7월에 국가지정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동국사의 본래 이름은 금강선사였다. 금강선사는 1909년 일본인 승려 내전불관이 군산에 포교소를 개설하면서 창건한 조동종 사찰이다.
[자세히보기]출처 : 한국관광공사
Dongguksa Temple
Dongguksa Temple was built by Japanese monk Seoneungbulgwan in 1909. The temple was run by Japanese monks for 36 yea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reverting to Korean jurisdiction when Korea was liberated in 1945. The historical temple is the only surviving Japanese-style temple in the nation. The temple is characterized by its two main buildings, Daeungjeon Hall and Yosachae, which are connected by a corridor, and the temple’s relative lack of decoration, which stands as a sharp contrast to the brilliantly-colored Korean temples. Dongguksa Temple was officially designated as Cultural Asset in July 2003 and is now a branch temple of Seonunsa Temple in Gochang, the 24th district of the Korean Buddhist Jogye Order.
[Learn more]Source : Korea Tourism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