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김만덕
金萬德 (1739-1812)



김만덕 (1739-1812)

1793년 제주도에서는 세 고을에서만 6백여 명이나 아사할 정도로 심각한 흉년이 계속되었다. “흉년이 들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없게 되었다. 2만여 섬의 구호식량이 없으면 장차 제주 백성들이 다 굶어 죽을 것입니다.”라는 장계를 받자, 2만 섬의 구호식량을 보내지만, 그마저도 1795년 수송 선박 다섯 척이 침몰하면서 구호정책은 실패했다. 이때 만덕은 전 재산을 풀어 5백여 석의 쌀을 사왔는데, 이중 450여 석을 모두 구호식량으로 기부하여 굶주림으로 죽어가던 제주도 민중들을 구원했다. 전 재산을 풀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의녀(義女) 만덕의 알현을 받은 정조가 “너는 한낱 여자의 몸으로 의기(義氣)를 내어 기아자 천백여 명을 구하였으니 기특하다.”라고 칭찬한 것을 보면 당시 만덕의 선행이 얼마나 큰 의미가 있는지 알수 있다. 이듬해인 1796년 만덕의 선행이 알려지자, 정조는 제주목사 이우현을 통해 만덕의 소원을 물어보는데, 만덕은 한양에서 궁궐을 보고, 금강산을 보고 싶다고 하였다. 대답을 들은 정조는 “관의 허락없이 제주도민은 섬밖으로 나가지 못한다.”라는 규칙을 깨고 만덕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또한 내의원 차비대령행수(內醫院 差備待令行首)로 삼아 정조를 알현할 자격을 주고 그녀의 선행에 대한 보답을 하였다.

[자세히보기]

출처 : Wikipedia

Kim Mandeok (1739-1812)

A lot of social discrimination existed in 1739, during King YeongJo’s reign of Joseon, when Kim ManDeok was born. Women couldn’t achieve high social status and also were limited in education. They were also restricted from going outside their homes, so women in Joseon could only devote to domestic work. Also, the people lived on the frontier treated unfairly about taxation, especially Jeju Island residents were forbidden to move outside the Jeju Island. Meanwhile, in 18 century Joseon the farming techniques improved as the rice planting appeared, the commerce improved together, it affected positively after this to Kim ManDeok grew commercially.

[Learn more]

Source : Wikipedia





ⓢ Kim Mandeok Inn / 김만덕 객주

김만덕 객주

제주시 구도심에 있는 미니 민속촌으로 초가 8동으로 관람동과 체험동으로 구분해서 운영하고 있다. 이 곳은 실제 객주 터라는 역사적 실체를 재현함으로써 계승 발전과 문화 관광자원화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을 위해 지어졌다. 조선 후기 거상 김만덕의 나눔과 봉사의 실천 정신을 통해 사회.경제적 책임과 윤리의 의미를 관광객 및 후세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노력이 담겨 있다. 관람동에서는 객주를 재현한 건축물이나 상단의 모습을 재현해 놓아,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고, 체험동에서는 실제 음식을 판매하는 주막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히보기]

출처 : Visit Jeju

Kim Mandeok Inn

This inn was built to recreate a traditional style inn for the purpose of continuing tradition and promoting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cultural resources. Also, it exists to share the spirit of community service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s of Kim Man Deok, a mercha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both tourists and new generations alike.

[Learn more]

Source : Visit Jeju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h·map story

my story